• Home
  • About Project
  • Contents
  • Images Archive
  • Index
  • LANGUAGE / EN

본 사이트는 국립현대미술관이 백남준 연구기반을 마련하기 위해 제작한 웹형태의 도록 프로젝트입니다.

This website is an online catalogue of a research project on Nam June Paik at National Museum of Modern and Contemporary Art, Korea.

Paik-tvs-at-CS

Paik-tvs-at-CS

〈로봇 K-456〉, 《사이버네틱 세렌디피티》전 설치 전경, ©Cybernetic Serendipity, 1968년.

K-456

K-456

백남준 & 슈야 아베, 〈로봇 K-456〉, 《사이버네틱 세렌디피티》전 설치 전경, ©Cybernetic Serendipity, 1968년.

5.-Beuys-Aktion-©montwéART.jpg

5.-Beuys-Aktion-©montwéART.jpg

《백남준: 음악의 전시—전자 텔레비전》(1963), 전시장 입구에서 촬영한 전시장 내 부서진 이비하 피아노, 바리타지 흑백 사진, 30,00cm×40,00cm, Photo: Manfred Montwé, Copyright: montwéART.

4.-Paik-Zen-for-Walking-©montwéART.jpg

4.-Paik-Zen-for-Walking-©montwéART.jpg

《백남준: 음악의 전시—전자 텔레비전》(1963), 〈걸음을 위한 선〉을 시연하는 백남준, 바리타지 흑백 사진, 30,00cm×40,00cm, Photo: Manfred Montwé, Copyright: montwéART.

3.-Paik-Installation-B-view-©montwéART.jpg

3.-Paik-Installation-B-view-©montwéART.jpg

《백남준: 음악의 전시—전자 텔레비전》(1963), 〈욕조에 담긴 마네킹〉 모습, 바리타지 흑백 사진, 30,00cm×40,00cm, Photo: Manfred Montwé, Copyright: montwéART.

2.-paik-listening-to-music-©montweART.jpg

2.-paik-listening-to-music-©montweART.jpg

《백남준: 음악의 전시—전자 텔레비전》(1963), 〈입을 통한 음악 감상(Listening to Music Through the Mouth)〉을 시연하는 백남준, 바리타지 흑백 사진, 30,00cm×40,00cm, Photo: Manfred Montwé, Copyright: montwéART.

1.-paik-piano-integral-©montweART.jpg

1.-paik-piano-integral-©montweART.jpg

《백남준: 음악의 전시—전자 텔레비전》(1963), 바리타지 흑백 사진, 30,00cm×40,00cm, Photo: Manfred Montwé, Copyright: montwéART

F16_Christiansen_Abschiedsymphonie

F16_Christiansen_Abschiedsymphonie

〈작별 심포니〉, 백남준과 헤닝 크리스티안센, 요셉 보이스의 공연 실황 녹음, 함부르크, 1985년, 사진: 에디션 블록.

F15a_Paik_Le_penseur_1_1

F15a_Paik_Le_penseur_1_1

〈TV 로댕(생각하는 사람)〉, 여러 대의 비디오, 1976/1978년, 샘플 12개, 사진: 아카이브 블록.

F14_Paik_MoonIsTheOldestTVSet_NY_1976_PM

F14_Paik_MoonIsTheOldestTVSet_NY_1976_PM

르네 블록 갤러리 뉴욕에 설치된 〈달은 가장 오래된 TV〉, 1976년, 사진: 피터 무어 / 아카이브 블록.

F13A_Paik_Zenith_1974_RB

F13A_Paik_Zenith_1974_RB

〈절정 TV〉 일부, 르네 블록 갤러리, 뉴욕, 1975년, 사진: 아카이브 블록.

F13_TVBuddha_1975_ReneBlockGallery_CewzanGrayson

F13_TVBuddha_1975_ReneBlockGallery_CewzanGrayson

르네 블록 갤러리에서의 전시 전경, 뉴욕, 1975년, 사진: 아카이브 블록.

F13_Paik_InstView_1975_ReneBlockGallery_CewzanGrayson

F13_Paik_InstView_1975_ReneBlockGallery_CewzanGrayson

르네 블록 갤러리에서의 전시 전경, 뉴욕, 1975년, 사진: 아카이브 블록.

F12_Paik_FluxusTrain

F12_Paik_FluxusTrain

〈플럭서스 기차〉, 1978년, 갤러리 르네 블록, 베를린, 사진: 아카이브 블록.

F11_PaikanBlock_nd_1970_EntwurfAkustischeR꼞me.jpg

F11_PaikanBlock_nd_1970_EntwurfAkustischeR꼞me.jpg

《청각적인 공간》 전시를 위한 스케치, ©아카이브 블록.

F10_PaikanBlock_nd_1970_EntwurfAkustischeR꼞me.jpg

F10_PaikanBlock_nd_1970_EntwurfAkustischeR꼞me.jpg

《청각적인 공간》 전시 참여를 위해 백남준이 보낸 편지, 갤러리 르네 블록, 베를린, 1970년, 사진: 아카이브 블록.

F9_F걊AugenUndOhren1_1980.jpg

F9_F걊AugenUndOhren1_1980.jpg

1963년 제작된 두 대의 피아노와 전시 《눈과 귀를 위하여》 전에 소개된 백남준의 오브제들, 베를린, 1980년, 사진: 아카이브 블록.

F9_F걊AugenundOhren_1980.jpg

F9_F걊AugenundOhren_1980.jpg

1963년 제작된 두 대의 피아노와 전시 《눈과 귀를 위하여》 전에 소개된 백남준의 오브제들, 베를린, 1980년, 사진: 아카이브 블록.

F8_2_PAIKanBLOCK_nd_1965_VorschlagSoiree_SoLangweiligWieM봥lich2.jpg

F8_2_PAIKanBLOCK_nd_1965_VorschlagSoiree_SoLangweiligWieM봥lich2.jpg

7월 15, 16, 17일 공연을 위해 포럼 테아터로 발송된 백남준의 편지, 베를린, 1966년, ©Archiv Block.

F8_1_PAIKanBLOCK_nd_1965_VorschlagSoiree_SoLangweiligWieM봥lich1.jpg

F8_1_PAIKanBLOCK_nd_1965_VorschlagSoiree_SoLangweiligWieM봥lich1.jpg

7월 15, 16, 17일 공연을 위해 포럼 테아터로 발송된 백남준의 편지, 베를린, 1966년, ©Archiv Block.

F7_Paik_Moorman_RobotOpera_1965_JMS

F7_Paik_Moorman_RobotOpera_1965_JMS

장소를 옮기는 〈로봇 K-456〉, 베를린, 1965년, 사진: 사진: 위르겐 뮐러-슈넥 / 아카이브 블록.

F6_Paik_RobotOpera_1965_JMS_05

F6_Paik_RobotOpera_1965_JMS_05

브란덴부르크 문 앞에 놓인 〈로봇 K-456〉, 베를린, 1965년, 사진: 위르겐 뮐러-슈넥 / 아카이브 블록.

F5f_Paik_Soiree7_1965_HRS_01

F5f_Paik_Soiree7_1965_HRS_01

퍼포먼스를 하는 백남준, 갤러리 르네블록, 베를린, 1965년, 사진: H.R. 스트레이 / 아카이브 블록.

F5d_Paik&Moormann_1965_HRS_05.jpg

F5d_Paik&Moormann_1965_HRS_05.jpg

퍼포먼스를 하는 백남준, 갤러리 르네블록, 베를린, 1965년, 사진: H.R. 스트레이 / 아카이브 블록.

F4a_Paik&Moormann_1965_HRS_10.jpg

F4a_Paik&Moormann_1965_HRS_10.jpg

백남준의 〈생상스 주제에 의한 변주곡〉을 연주하는 샬롯 무어만, 갤러리 르네블록, 베를린, 1965년, 사진: H.R. 스트레이 / 아카이브 블록.

F3b_Paik_Urklavier_1983_daadgalerie_RB

F3b_Paik_Urklavier_1983_daadgalerie_RB

〈원시 피아노〉 앞에서의 백남준, 1983년, 베를린 daad 갤러리, 사진: 아카이브 블록.

F2_Paik_Beuys_InMemoriam_300dpi

F2_Paik_Beuys_InMemoriam_300dpi

〈조지 마키우나스를 기리며〉, 1978–82년, 샘플 25개, 요셉 보이스, ‘펠트천으로 감싼 굄목’, 백남준, 〈원시 피아노〉, 공연실황 LP 음반, 사진: 에디션 블록.

F1_Paik_Beuys_InMemoriam_1978_ErikAndersch

F1_Paik_Beuys_InMemoriam_1978_ErikAndersch

조지 마키우나스를 추모하기 위해 두 대의 피아노에 각각 앉아 있는 요셉 보이스와 백남준, 1978년, 뒤셀도르프 국립아카데미, 사진: 에릭 안데르쉬 / 아카이브 블록.

3 (1).jpg

3 (1).jpg

Peter Moore, Untitled (Nam June Paik in his studio; Publicity photo for the 2nd Annual New York Avant Garde Festival), August 17, 1964, gelatin silver print, paper: 8 x 10 in. (20.3 x 25.4 cm), image: 6 7/8 x 8 7/8 in. (17.5 x 22.5 cm), © 2020 Barbara Moore / Licensed by VAGA at Artists Rights Society (ARS), NY, Courtesy Paula Cooper Gallery, New York

2

2

Peter Moore, Robot K-456 (1964) in Robot Opera (1964), Performed in front of Judson Hall as part of the 2nd Annual New York Avant-Garde Festival, New York, 1964, gelatin silver print, image: 6 x 9 5/8 in. (15.2 x 24.4 cm), frame: 21 x 18 3/4 x 1 1/4 in. (53.3 x 47.6 x 3.2 cm), © 2020 Barbara Moore / Licensed by VAGA at Artists Rights Society (ARS), NY, Courtesy Paula Cooper Gallery, New York

1

1

Peter Moore, Paik and Charlotte Moorman with Robot K-456 in Paik’s Lispenard Street Studio, 1964, gelatin silver print,8 7/8 x 5 7/8 in. (22.5 x 14.9 cm), frame: 21 x 18 3/4 x 1 1/4 in. (53.3 x 47.6 x 3.2 cm), © 2020 Barbara Moore / Licensed by VAGA at Artists Rights Society (ARS), NY, Courtesy Paula Cooper Gallery, New York

4

4

Peter Moore, Untitled (Charlotte Moorman performing Nam June Paik’s Concerto for TV Cello and Videotapes, wearing his TV Glasses), November 23, 1971, gelatin silver print, paper: 19 7/8 x 16 in. (50.5 x 40.6 cm),© 2020 Barbara Moore / Licensed by VAGA at Artists Rights Society (ARS), NY, Courtesy Paula Cooper Gallery, New York

본 사이트는 국립현대미술관이 백남준 연구기반을 마련하기 위해 제작한 웹형태의 도록 프로젝트입니다.

This website is an online catalogue of a research project on Nam June Paik at National Museum of Modern and Contemporary Art, Korea.

  • Home
  • About Project
  • Contents
  • Images Archive
  • Index
  • LANGUAGE / EN